전기7 [이론] 비오 사바르법칙 (Bio Savart Law) 및 1,2,3 차원에 적용 비오 사바르법칙 기본 정의 (Bio Savart Law) 가정) - I1이라는 current가 존재한다고 가정! - 이 current를 굉장히 짧은 길이 dL이라는 형태로 분할을 하자 -> 이 구간에 대해서만 생각을 하자 - 임의의 origin을 설정하자(원점) - 전류로 부터 발생하는 magnetic point를 지정(P) - 해당 거리를 r, r'으로 표시 - source로 부터 관측점까지의 거리를 R 로 정의 -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전류의 방향과 관측 점과의 각도를 '세타'라고 정의 - 전류라는 것은 직류전류로 정의!! -> const - 전류는 항상 폐쇄회로에서 정의!! -> closed circuit * 전류는 원래 방향성 개념이 없다. 하지만 여기선 전류를 current desity 개념으..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27. [이론] 암페어의 주회법칙 및 Infinit line과 finit line에서의 자계세기를 구해보자 암페어의 주회법칙 : 임의의 폐곡선을 따라 자계 H 를 선적분하면 폐곡선 내를 지나는 총 직류전류의 량과 같다는 법칙입니다. 이를 활용해서 앞으로 scalar와 vector potential을 정의하는데 많이 활용되는 법칙입니다. 앞서 포스팅에선 infinite line에서의 자계를 구했었습니다. 그래서 이를 기반으로 다음의 암페어의 주회법칙을 infinite line에 적용시켰을 때 과연 앞서 포스팅했던 자계의 공식(비오- 사바르 법칙)과 동일하게 나오는지를 확인하고자 합니다. 만일 동일하다면 암페어의 주회법칙이 타당하다는 것이 증명됩니다. 지금 부터 암페어의 주회법칙을 한번 적용해서 타당한지 알아보겠습니다. infinite line의 암페어의 주회법칙을 통해 구한 결과와 앞서 포스팅했던 비오-사바..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25. [이론] 코로나 현상에 대한 설명 *코로나 현상 : 초고압 송전계통에서 전선 표면의 전위경도가 높아지게 되는데 이때 전선과 전선 사이의 공기의 절연이 파괴면서 전선사이에 방전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전선과 전선 사이에 공기의 절연층이 파괴되면서 전선끼리 방전이 일어나는 현상 직류와 교류회로에 따라 공기의 절연파괴 전압이 있습니다. 직류일 경우 30kv/cm , 교류일 경우 21kv/cm입니다. 코로나 손실 발생했을때의 peek의 식 코로나가 발생하게 되면 코로나 잡음 발생, 고조파 장해 발생 - 정현파 -> 왜형파(직률분 + 기본파 + 고조파) 오존 및 산화질소가 수분과 합해져 질산에 의한 전선, 바인드선의 부식이 일어나게 됩니다. 코로나 임계 전압은 코로나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최저한도전압이며 다음과 같다. 기압이 낮아지거나 온도..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24. [이론] 페란티 현상에 대한 설명 및 방지대책 페란티 현상은 정전 용량 때문에 전압보다 위상이 앞선 충전 전류의 영향이 클 때,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진상이 되어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간단히 비유를 들어 설명하자면, C의 경우 진상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진상전류란 전압보다 위상이 90' 앞선 전류를 의미하는데 선로에서 C의 정전용량이 너무 커 위상이 앞선 전류가 너무 과해져서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과도하게 높아지는 현상이 바로 페란티 현상입니다. 그러면 방지대책으론 당연히 이러한 진상 전류를 없애주면 됩니다. 그러기 위해선 L이라는 리액터 성분을 첨가해 주면 되는데 L의 경우 지상전류 즉, 전압보다 위상이 90' 뒤지는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페란티 현상을 ..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23. [이론] 뱅킹방식에의 생기는 연쇄적인 문제점 해결 [캐스케이딩 현상] 기존의 가지식, 수지식(tree system)의 경우 한쪽이 고장나면 그 뒤의 모든 전선들이 고장나 광범위한 지역에 정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뱅킹 방식 역시 변압기 2차측 저압선 일부가 고장(단락- 가장 빈도수 많다) 고장으로 인해 건전한 변압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고장날 수 있는데 이를 퓨즈를 이용하여 막아주는(차단되는) 현상이 바로 캐스케이딩 현상입니다. 이때 퓨자가 구분 퓨즈와 변압기 퓨즈가 있는데 구분 퓨즈가 변압기 퓨즈보다 먼저 끊어지게 설계되어 있어 해당 부분 수용가만 정전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21. [이론] 중성점 접지방식에서 소호리액터 접지 방식 및 특징을 알아보자 중성점 접지방식 중에는 비접지 방식, 직접 접지방식, 저항 접지방식, 소호 리액터 접지방식이 있습니다. 이중 이번 포스팅에선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은 PC접지방식이라고도 불리며 게 통에 접속된 변압기의 중성점을 송전 선로의 대지 정전 용량과 공진하는 리액턴스를 통해 접지하는 방식으로 주로 66kv의 고압 전선로에서 사용됩니다. 이러한 소호 리액터 접지 방식은 L과 C의 병렬 공진에 의해 이루어지며 병렬 공진 조건에 의해 소호 리액터의 크기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병렬공진에 대한 설명 링크입니다.(가장 마지막 부분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parkppjjmm/221440058558 수동소자(R,L,C)의 직렬 및..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20. [이론] 공진점 벗어난 정도를 의미하는 합조도에 관한 특성 합조도는 L과 C가 서로 공진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공진이 이루어질 때 공진 접을 벗어나고 있는 정도를 합조 도라고 합니다. 주로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에서 사용되는데 소호 리액터 접지방식의 경우 환경에 따라 C값이 변화하므로 여러 개의 탭을 설치하여 탭을 변경하면서 언제나 정전 용량과 공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소호 리액터의 탭이 공진점을 벗어나고 있는 정도를 합조 도라고 합니다. 이러한 합조도는 P 기호로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소호리액터 사용 탭 전류가 많을 경우 합조도가 +가 되며 과보상이라고 하고, 대지 충전 전류가 소호 리액터 사용 탭 전류가 같으면 합조도가 0으로 완전 공진, 대지 충전 전류가 많으면 합조도가 -가 되고 부족 보상이라고 합니다.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