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즈2 [이론] 뱅킹방식에의 생기는 연쇄적인 문제점 해결 [캐스케이딩 현상] 기존의 가지식, 수지식(tree system)의 경우 한쪽이 고장나면 그 뒤의 모든 전선들이 고장나 광범위한 지역에 정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뱅킹 방식 역시 변압기 2차측 저압선 일부가 고장(단락- 가장 빈도수 많다) 고장으로 인해 건전한 변압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고장날 수 있는데 이를 퓨즈를 이용하여 막아주는(차단되는) 현상이 바로 캐스케이딩 현상입니다. 이때 퓨자가 구분 퓨즈와 변압기 퓨즈가 있는데 구분 퓨즈가 변압기 퓨즈보다 먼저 끊어지게 설계되어 있어 해당 부분 수용가만 정전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21. [이론] 전력퓨즈(PF : Power Fuse)와 한류형 퓨즈를 알아보자 전력퓨즈는 power fuse로써 전력 회로에 사용되는 퓨즈 입니다. 이는 고전압 회로 또는 기기의 단락 보호용으로 차단기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즉, 단락전류 용단 일정값 이상의 과전류(이상전류) [단, 일정값 이상이란 단어는 한류형 퓨즈에 해당됩니다.] 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한가지 조심해야될 부분이 전력퓨즈에서 한류형 퓨즈의 경우 차단기와는 다르게 과부하전류, 과돌입전류, 기동전류에 의해 용단되면 안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이 부분은 퓨즈 선정시 고려사항과 같으며 아래에 다시한번 정리하겠습니다. 헷갈리는 부분은 그럼 과부하전류는 과전류(이상전류)인데 앞서 말했듯이 빨간글씨에서 과전류를 차단시킨다고 하지않았나!!? 여기서 과전류는 일정값 이상 단어가 중요합니다...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