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족보상1 [이론] 공진점 벗어난 정도를 의미하는 합조도에 관한 특성 합조도는 L과 C가 서로 공진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공진이 이루어질 때 공진 접을 벗어나고 있는 정도를 합조 도라고 합니다. 주로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에서 사용되는데 소호 리액터 접지방식의 경우 환경에 따라 C값이 변화하므로 여러 개의 탭을 설치하여 탭을 변경하면서 언제나 정전 용량과 공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소호 리액터의 탭이 공진점을 벗어나고 있는 정도를 합조 도라고 합니다. 이러한 합조도는 P 기호로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소호리액터 사용 탭 전류가 많을 경우 합조도가 +가 되며 과보상이라고 하고, 대지 충전 전류가 소호 리액터 사용 탭 전류가 같으면 합조도가 0으로 완전 공진, 대지 충전 전류가 많으면 합조도가 -가 되고 부족 보상이라고 합니다.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