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실기4 [이론] 단락사고가 발생했을때 단락전류 구하는 법을 알아보자 주의해서 봐야될 부분 -변압기의 1차, 2차, 3차 측을 구별하는 방법 -합성 임피던스 구하는 법 -차단기의 단락전류 구할 때, 저항의 병렬연결에 사용되는 방법 적용 해서 구할 것 전기공학 이야기 2020. 3. 16. [이론] 코로나 현상에 대한 설명 *코로나 현상 : 초고압 송전계통에서 전선 표면의 전위경도가 높아지게 되는데 이때 전선과 전선 사이의 공기의 절연이 파괴면서 전선사이에 방전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전선과 전선 사이에 공기의 절연층이 파괴되면서 전선끼리 방전이 일어나는 현상 직류와 교류회로에 따라 공기의 절연파괴 전압이 있습니다. 직류일 경우 30kv/cm , 교류일 경우 21kv/cm입니다. 코로나 손실 발생했을때의 peek의 식 코로나가 발생하게 되면 코로나 잡음 발생, 고조파 장해 발생 - 정현파 -> 왜형파(직률분 + 기본파 + 고조파) 오존 및 산화질소가 수분과 합해져 질산에 의한 전선, 바인드선의 부식이 일어나게 됩니다. 코로나 임계 전압은 코로나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최저한도전압이며 다음과 같다. 기압이 낮아지거나 온도..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24. [이론] 전력퓨즈(PF : Power Fuse)와 한류형 퓨즈를 알아보자 전력퓨즈는 power fuse로써 전력 회로에 사용되는 퓨즈 입니다. 이는 고전압 회로 또는 기기의 단락 보호용으로 차단기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즉, 단락전류 용단 일정값 이상의 과전류(이상전류) [단, 일정값 이상이란 단어는 한류형 퓨즈에 해당됩니다.] 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한가지 조심해야될 부분이 전력퓨즈에서 한류형 퓨즈의 경우 차단기와는 다르게 과부하전류, 과돌입전류, 기동전류에 의해 용단되면 안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이 부분은 퓨즈 선정시 고려사항과 같으며 아래에 다시한번 정리하겠습니다. 헷갈리는 부분은 그럼 과부하전류는 과전류(이상전류)인데 앞서 말했듯이 빨간글씨에서 과전류를 차단시킨다고 하지않았나!!? 여기서 과전류는 일정값 이상 단어가 중요합니다...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17. [이론] 그림설명을 통한 쉬운 전기_ ZCT (영상 변류기)에 대해 알아보자 영상 변류기란? 지락 사고 시 지락 전류(즉, 영상 전류라고도 한다.)를 검출하는 용도로 지락 계전기와 조합하여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장치입니다. 영상 변류기의 경우 대전류 회로에서 지락사고가 발생시 각 상이 불평형(기존에는 평형을 이루고 있었다고 가정) 전류를 검출하여 이에 비례한 미소 전류를(변류비에 따라) 2차 측으로 전하게 됩니다. * 요약하면 기존의 평형상태일 경우 2차측에 흐르는 전류는 0(zero)이지만 지락사고가 발생 시 각 상이 불평형 조건이 되며 2차 측에 지락 계전기의 비례한 전류를 전달하게 됩니다. 이러한 ZCT의 경우 지락 사고로부터 수전 설빌르 보호하고자 할 때 케이블의 차폐를 전원 측과 부하 측 ZCT에 접지를 해야 됩니다. 이러한 접지의 경우 전원 측의 경우 접지선을 ZCT 내.. 전기공학 이야기 2019. 11.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