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가지식, 수지식(tree system)의 경우 한쪽이 고장나면 그 뒤의 모든 전선들이 고장나 광범위한 지역에 정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뱅킹 방식 역시 변압기 2차측 저압선 일부가 고장(단락- 가장 빈도수 많다) 고장으로 인해 건전한 변압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고장날 수 있는데 이를 퓨즈를 이용하여 막아주는(차단되는) 현상이 바로 캐스케이딩 현상입니다.
이때 퓨자가 구분 퓨즈와 변압기 퓨즈가 있는데 구분 퓨즈가 변압기 퓨즈보다 먼저 끊어지게 설계되어 있어 해당 부분 수용가만 정전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전기공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론] 페란티 현상에 대한 설명 및 방지대책 (0) | 2020.01.23 |
---|---|
[이론] 전력계통의 연계의 의미와 장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0) | 2020.01.22 |
[이론] 중성점 접지방식에서 소호리액터 접지 방식 및 특징을 알아보자 (0) | 2020.01.20 |
[이론] GPT (접지형 계기용 변성기) 이론 및 평소 및 지락사고시 전압계용 전환 개폐기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를 구해보자 (1) | 2020.01.19 |
[이론] 2중 모선 방식 및 2중 모선 점검 순서 (1) | 2020.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