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공학10 [이론] 단락사고가 발생했을때 단락전류 구하는 법을 알아보자 주의해서 봐야될 부분 -변압기의 1차, 2차, 3차 측을 구별하는 방법 -합성 임피던스 구하는 법 -차단기의 단락전류 구할 때, 저항의 병렬연결에 사용되는 방법 적용 해서 구할 것 전기공학 이야기 2020. 3. 16. [이론] 코로나 현상에 대한 설명 *코로나 현상 : 초고압 송전계통에서 전선 표면의 전위경도가 높아지게 되는데 이때 전선과 전선 사이의 공기의 절연이 파괴면서 전선사이에 방전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전선과 전선 사이에 공기의 절연층이 파괴되면서 전선끼리 방전이 일어나는 현상 직류와 교류회로에 따라 공기의 절연파괴 전압이 있습니다. 직류일 경우 30kv/cm , 교류일 경우 21kv/cm입니다. 코로나 손실 발생했을때의 peek의 식 코로나가 발생하게 되면 코로나 잡음 발생, 고조파 장해 발생 - 정현파 -> 왜형파(직률분 + 기본파 + 고조파) 오존 및 산화질소가 수분과 합해져 질산에 의한 전선, 바인드선의 부식이 일어나게 됩니다. 코로나 임계 전압은 코로나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최저한도전압이며 다음과 같다. 기압이 낮아지거나 온도..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24. [이론] 페란티 현상에 대한 설명 및 방지대책 페란티 현상은 정전 용량 때문에 전압보다 위상이 앞선 충전 전류의 영향이 클 때,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진상이 되어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간단히 비유를 들어 설명하자면, C의 경우 진상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진상전류란 전압보다 위상이 90' 앞선 전류를 의미하는데 선로에서 C의 정전용량이 너무 커 위상이 앞선 전류가 너무 과해져서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과도하게 높아지는 현상이 바로 페란티 현상입니다. 그러면 방지대책으론 당연히 이러한 진상 전류를 없애주면 됩니다. 그러기 위해선 L이라는 리액터 성분을 첨가해 주면 되는데 L의 경우 지상전류 즉, 전압보다 위상이 90' 뒤지는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페란티 현상을 ..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23. [이론] 뱅킹방식에의 생기는 연쇄적인 문제점 해결 [캐스케이딩 현상] 기존의 가지식, 수지식(tree system)의 경우 한쪽이 고장나면 그 뒤의 모든 전선들이 고장나 광범위한 지역에 정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뱅킹 방식 역시 변압기 2차측 저압선 일부가 고장(단락- 가장 빈도수 많다) 고장으로 인해 건전한 변압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고장날 수 있는데 이를 퓨즈를 이용하여 막아주는(차단되는) 현상이 바로 캐스케이딩 현상입니다. 이때 퓨자가 구분 퓨즈와 변압기 퓨즈가 있는데 구분 퓨즈가 변압기 퓨즈보다 먼저 끊어지게 설계되어 있어 해당 부분 수용가만 정전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21. [이론] 중성점 접지방식에서 소호리액터 접지 방식 및 특징을 알아보자 중성점 접지방식 중에는 비접지 방식, 직접 접지방식, 저항 접지방식, 소호 리액터 접지방식이 있습니다. 이중 이번 포스팅에선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은 PC접지방식이라고도 불리며 게 통에 접속된 변압기의 중성점을 송전 선로의 대지 정전 용량과 공진하는 리액턴스를 통해 접지하는 방식으로 주로 66kv의 고압 전선로에서 사용됩니다. 이러한 소호 리액터 접지 방식은 L과 C의 병렬 공진에 의해 이루어지며 병렬 공진 조건에 의해 소호 리액터의 크기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병렬공진에 대한 설명 링크입니다.(가장 마지막 부분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parkppjjmm/221440058558 수동소자(R,L,C)의 직렬 및..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20. [이론] 2중 모선 방식 및 2중 모선 점검 순서 2중 모선 : 선로를 2개의 모선으로 구성한는 것입니다. 이로써, 모선 점검시에도 부하운전을 무정전 상태로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단로기의 경우 아주 미약한 전류를 제외한 부하전류의 개폐가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만들어 주기 위해 2중 모선을 병렬 연결하여 전압을 동일하게 만들어 전류를 흐리지 않도록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그러면 이러한 2중 모선을 활용하여 선로를 점검하는 예시를 보겠습니다. 아래의 그림에 2중 모선에 단로기와 차단기로 이루어져있습니다. * 단로기의 경우 항상 부하측을 먼저 개폐 시켜야 되며, 단로기의 경우 차단기가 항상 OFF상태 일때만 조작해야됩니다. 여기서 이제 B모선을 점검하기 위해선 단로기를 개폐시켜야 되는데 문제는 여자전류 때문에 단로..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18. [이론] 공진점 벗어난 정도를 의미하는 합조도에 관한 특성 합조도는 L과 C가 서로 공진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공진이 이루어질 때 공진 접을 벗어나고 있는 정도를 합조 도라고 합니다. 주로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에서 사용되는데 소호 리액터 접지방식의 경우 환경에 따라 C값이 변화하므로 여러 개의 탭을 설치하여 탭을 변경하면서 언제나 정전 용량과 공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소호 리액터의 탭이 공진점을 벗어나고 있는 정도를 합조 도라고 합니다. 이러한 합조도는 P 기호로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소호리액터 사용 탭 전류가 많을 경우 합조도가 +가 되며 과보상이라고 하고, 대지 충전 전류가 소호 리액터 사용 탭 전류가 같으면 합조도가 0으로 완전 공진, 대지 충전 전류가 많으면 합조도가 -가 되고 부족 보상이라고 합니다.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16. [이론] 단위법 P.U법을 왜 사용할까? 단위법은 어떤 양을 나타내는 데 있어서 그 절대량이 아니고 기준량에 대한 비로소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즉, 어떠한 기준량을 정해 해당 기준량으로 부터 각각의 요소들의 크기를 비교하기 쉽게 만들어 주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그러면 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까요? 이유는 다음의 그림으로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Single-line-diagram-of-the-IEEE-30-bus-power-system_fig3_312255189 이러한 30 bus로 구성된 power flow system이 있습니다. 각각의 지역에 어느 정도의 전력이 소모되는지, 어느 정도의 전력이 필요한지, 그래서 얼마나 공급해 줘야 되고, 효율적인 전..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16. [이론] What about Capacitor Works? 캐패시터에 여러 상황 적용 사례 내용 최신 update 자료 링크 https://blog.naver.com/parkppjjmm/221768278544 -------------------------------------------------------------------------------------------------------- [문제의 발단] : 노란색 부분의 cap에는 stable 상태가 되면 voltage source와 같은 voltage가 걸리기 때문에 open 상태가 되며, current가 더이상 흐르지 않게 되고, initial 때는 voltage가 0에서 finial 때는 voltage가 voltage source만큼 걸리게 된다. 그래서 open 상태가 되어야 하며, 저항에 해당 voltage가 걸려야 되하지만, ..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10. [이론] 그림설명을 통한 쉬운 전기_ ZCT (영상 변류기)에 대해 알아보자 영상 변류기란? 지락 사고 시 지락 전류(즉, 영상 전류라고도 한다.)를 검출하는 용도로 지락 계전기와 조합하여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장치입니다. 영상 변류기의 경우 대전류 회로에서 지락사고가 발생시 각 상이 불평형(기존에는 평형을 이루고 있었다고 가정) 전류를 검출하여 이에 비례한 미소 전류를(변류비에 따라) 2차 측으로 전하게 됩니다. * 요약하면 기존의 평형상태일 경우 2차측에 흐르는 전류는 0(zero)이지만 지락사고가 발생 시 각 상이 불평형 조건이 되며 2차 측에 지락 계전기의 비례한 전류를 전달하게 됩니다. 이러한 ZCT의 경우 지락 사고로부터 수전 설빌르 보호하고자 할 때 케이블의 차폐를 전원 측과 부하 측 ZCT에 접지를 해야 됩니다. 이러한 접지의 경우 전원 측의 경우 접지선을 ZCT 내.. 전기공학 이야기 2019. 11.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