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조도2 [이론] 중성점 접지방식에서 소호리액터 접지 방식 및 특징을 알아보자 중성점 접지방식 중에는 비접지 방식, 직접 접지방식, 저항 접지방식, 소호 리액터 접지방식이 있습니다. 이중 이번 포스팅에선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은 PC접지방식이라고도 불리며 게 통에 접속된 변압기의 중성점을 송전 선로의 대지 정전 용량과 공진하는 리액턴스를 통해 접지하는 방식으로 주로 66kv의 고압 전선로에서 사용됩니다. 이러한 소호 리액터 접지 방식은 L과 C의 병렬 공진에 의해 이루어지며 병렬 공진 조건에 의해 소호 리액터의 크기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병렬공진에 대한 설명 링크입니다.(가장 마지막 부분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parkppjjmm/221440058558 수동소자(R,L,C)의 직렬 및..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20. [이론] 공진점 벗어난 정도를 의미하는 합조도에 관한 특성 합조도는 L과 C가 서로 공진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공진이 이루어질 때 공진 접을 벗어나고 있는 정도를 합조 도라고 합니다. 주로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에서 사용되는데 소호 리액터 접지방식의 경우 환경에 따라 C값이 변화하므로 여러 개의 탭을 설치하여 탭을 변경하면서 언제나 정전 용량과 공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소호 리액터의 탭이 공진점을 벗어나고 있는 정도를 합조 도라고 합니다. 이러한 합조도는 P 기호로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소호리액터 사용 탭 전류가 많을 경우 합조도가 +가 되며 과보상이라고 하고, 대지 충전 전류가 소호 리액터 사용 탭 전류가 같으면 합조도가 0으로 완전 공진, 대지 충전 전류가 많으면 합조도가 -가 되고 부족 보상이라고 합니다.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