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7 [이론] 공진점 벗어난 정도를 의미하는 합조도에 관한 특성 합조도는 L과 C가 서로 공진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공진이 이루어질 때 공진 접을 벗어나고 있는 정도를 합조 도라고 합니다. 주로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에서 사용되는데 소호 리액터 접지방식의 경우 환경에 따라 C값이 변화하므로 여러 개의 탭을 설치하여 탭을 변경하면서 언제나 정전 용량과 공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소호 리액터의 탭이 공진점을 벗어나고 있는 정도를 합조 도라고 합니다. 이러한 합조도는 P 기호로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소호리액터 사용 탭 전류가 많을 경우 합조도가 +가 되며 과보상이라고 하고, 대지 충전 전류가 소호 리액터 사용 탭 전류가 같으면 합조도가 0으로 완전 공진, 대지 충전 전류가 많으면 합조도가 -가 되고 부족 보상이라고 합니다.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16. [이론] 단위법 P.U법을 왜 사용할까? 단위법은 어떤 양을 나타내는 데 있어서 그 절대량이 아니고 기준량에 대한 비로소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즉, 어떠한 기준량을 정해 해당 기준량으로 부터 각각의 요소들의 크기를 비교하기 쉽게 만들어 주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그러면 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까요? 이유는 다음의 그림으로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Single-line-diagram-of-the-IEEE-30-bus-power-system_fig3_312255189 이러한 30 bus로 구성된 power flow system이 있습니다. 각각의 지역에 어느 정도의 전력이 소모되는지, 어느 정도의 전력이 필요한지, 그래서 얼마나 공급해 줘야 되고, 효율적인 전..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16. [이론] 전력용 개폐장치를 알아보자(단로기, 개폐기, 차단기 & 인터록 조작순서) 전력용 개폐장치로는 단로기, 개폐기, 차단기로 나뉠 수 있습니다. 1) 단로기 (DS) : 무부하 회로 개폐 장치로 "DS" symbol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단로기는 기기와 선로 또는 모선 등의 점검 및 수리시, 특히 충전 가압을 막을 수 있고 단로 구간을 확실하게 하여 정전 개소를 확보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즉, 전력계통을 분리, 송전 및 수전 계통을 변경 할 수 있으며, 원래는 부하전류를 개폐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선로의 충전전류와 변압기의 여자전류 및 경부하 전류 등의 "미약한 전류"는 개폐 가능합니다. * 참고로 단로기는 차단 능력은 없으면, 오로직 개폐 장치로 사용합니다. 2) 개폐기 : 개폐기는 부하개폐는 가능하지만 고장전류는 차단 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합니다. 종류로는 유입개폐..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14. [이론] What about Capacitor Works? 캐패시터에 여러 상황 적용 사례 내용 최신 update 자료 링크 https://blog.naver.com/parkppjjmm/221768278544 -------------------------------------------------------------------------------------------------------- [문제의 발단] : 노란색 부분의 cap에는 stable 상태가 되면 voltage source와 같은 voltage가 걸리기 때문에 open 상태가 되며, current가 더이상 흐르지 않게 되고, initial 때는 voltage가 0에서 finial 때는 voltage가 voltage source만큼 걸리게 된다. 그래서 open 상태가 되어야 하며, 저항에 해당 voltage가 걸려야 되하지만, .. 전기공학 이야기 2020. 1. 10. [이론] 그림설명을 통한 쉬운 전기_ ZCT (영상 변류기)에 대해 알아보자 영상 변류기란? 지락 사고 시 지락 전류(즉, 영상 전류라고도 한다.)를 검출하는 용도로 지락 계전기와 조합하여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장치입니다. 영상 변류기의 경우 대전류 회로에서 지락사고가 발생시 각 상이 불평형(기존에는 평형을 이루고 있었다고 가정) 전류를 검출하여 이에 비례한 미소 전류를(변류비에 따라) 2차 측으로 전하게 됩니다. * 요약하면 기존의 평형상태일 경우 2차측에 흐르는 전류는 0(zero)이지만 지락사고가 발생 시 각 상이 불평형 조건이 되며 2차 측에 지락 계전기의 비례한 전류를 전달하게 됩니다. 이러한 ZCT의 경우 지락 사고로부터 수전 설빌르 보호하고자 할 때 케이블의 차폐를 전원 측과 부하 측 ZCT에 접지를 해야 됩니다. 이러한 접지의 경우 전원 측의 경우 접지선을 ZCT 내.. 전기공학 이야기 2019. 11. 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