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계통의 연계란 연계라는 의미 그래도 서로서로 연결을 하는 것입니다.
서로서로 연결을 하는 방법으로 전력 계통을 병렬로 운전하는 것으로써 계통을 연계시키면 전력 계통의 규모가 증대되고 계통의 임피던스는 감소하게 됩니다.
이렇게 연계를 시켜주면 장단점이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장점
- 설비 욜 야이 절감된다.
- 건설비 및 운전 경비를 절감하므로 경제적인 급전이 가능해진다.
- 계통 전체로써의 신뢰도가 증가된다. 이 의미는 연계를 시켜줌으로써 A라는 변압기가 고장 나 A 변압기에 연결된 해당 부하들에 전력을 공급 못해주게 되는데 이러한 부하들이 B라는 변압기에도 연결되어 있어(이 부분이 연계입니다.) 정전이 일어나지 않고 무사히 전력을 공급해 줄 수 있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즉, 정전이 일어날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 신뢰도가 증가된다는 것입니다.
- 부하 변동의 영향이 작아져서 안정된 주파수 유지가 가능해집니다.
단점
- 연계설비를 신설해야 됩니다.
- 사고 시 타 계통으로 사고가 파급 확대될 우려가 있습니다.
- 병렬회로수가 많아지게 되며, 선로 임피던스가 감소하여 단락 전류가 증대되고 통신선의 전자유도 장해가 증가하게 됩니다. -> 이를 꼭 기억해야됩니다!!!!
'전기공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론] 코로나 현상에 대한 설명 (1) | 2020.01.24 |
---|---|
[이론] 페란티 현상에 대한 설명 및 방지대책 (0) | 2020.01.23 |
[이론] 뱅킹방식에의 생기는 연쇄적인 문제점 해결 [캐스케이딩 현상] (0) | 2020.01.21 |
[이론] 중성점 접지방식에서 소호리액터 접지 방식 및 특징을 알아보자 (0) | 2020.01.20 |
[이론] GPT (접지형 계기용 변성기) 이론 및 평소 및 지락사고시 전압계용 전환 개폐기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를 구해보자 (1) | 2020.01.19 |
댓글